JavaScript

JavaScript 기본개념(2) 연산자의 종류

우아개발자 2023. 11. 23.

JavScript의 기본개념인 연산자의 종류를 알아볼텐데요. 연산자를 표로 정리하기보다, 실제로 연산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론

연산자의  종류에 대해서

연산자의 종류에는 산술 연산자(+할당연산자) 연결 연산자 논리 연산자가 있는데요. 사실 우리가 스크립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은 할당연산자 부분과 연결 연산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 물론 학원 수업의 일부분을 보았을 때 말이죠. 그래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인 '연산자'를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자바에서도 그렇듯, 연산자를 사용하기 전에, 우리는 값을 할당해야하는데요. 상수는 최초 선언 시 값을 할당해놓습니다.


본론

1. 문자열 연산자

문자열연산자는 문자열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로, 두 문자열의 값을 서로 연결한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해줍니다.
console.log("'my' + 'cat' = " + 'my' + 'cat');
console.log("'5' + 2 = " + '5' + 2);
console.log('string literals: 1 + 2 = ' + (1 + 2));
console.log('string literals: 1 + 2 = ${1 + 2}');
console.log(`string literals: 1 + 2 = ${1 + 2}`); // ${ ~ }를 사용하려면 `(그레이브)를 써야한다.
console.log('=================================');

 

2. 산술 연산자

 '+'를 제외한 나머지 산술 연산자(-, *, /, %)는 문자와 숫자를 연산하면 숫자로 계산한다.
console.log("'5' + 2 = " + '5' + 2); // 덧셈은 문자열 연결
console.log("'5' + 2 = " + (parseInt('5') + 2)); // parseInt() => 정수화 함수
console.log("'5' - 2 = " + '5' - 2); // NaN
console.log("'5' - 2 = " + ('5' - 2)); // 2
console.log("'5' * 2 = " + '5' * 2); // 10
console.log("'5' / 2 = " + '5' / 2); // 2.5, 정수와 정수의 연산도 결과는 실수가 나온다.
console.log("'5' / 2 = " + Math.ceil('5' / 2)); // ceil() => 올림 함수
console.log("'5' / 2 = " + Math.floor('5' / 2)); // floor() => 내림 함수
console.log("'5' / 2 = " + Math.round('5' / 2)); // round() => 반올림 함수
console.log("'5' / 2 = " + parseInt('5' / 2));
console.log("'5' % 2 = " + '5' % 2); // 1
console.log("'5' ** 2 = " + '5' ** 2); // 25
console.log("'5' ** 2 = " + Math.pow('5', 2)); // pow() => 거듭제곱 함수

3. 증감 연산자


let counter = 2;


const preIncrement = ++counter;
console.log(`preIncrement: ${preIncrement}, counter: ${counter}`);
const postIncrement = counter++;
console.log(`postIncrement: ${postIncrement}, counter: ${counter}`);
console.log('=================================');

4.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서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참인지에 따라서 불리언 값을 반환해주는 연산자입니다.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10 != '6' = ${10 != '6'}`);
console.log('=================================');

5. 대입 연산자


let x = 6;
let y = 3;
console.log(`x += y => x: ${x += y}`);
console.log(`x -= y => x: ${x -= y}`);
console.log(`x *= y => x: ${x *= y}`);
console.log(`x /= y => x: ${x /= y}`);
console.log(`x %= y => x: ${x %= y}`);
console.log('=================================');

자바스크립트는 비교를 할 때 "==" "!=" 는 데이터타입을 구별하지 않고 값만 비교함.
'===' 과 '!==' 데이터 타입 및 값을 비교합니다.
console.log(`10 == 10 = ${10 == 10}`);
console.log(`10 == '10' = ${10 == '10'}`);
console.log(`10 === '10' = ${10 === '10'}`);
console.log('=================================');

6. 논리 연산자

논리연산자는 보통, 불리언 값과 함께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표]
console.log(`true && 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tru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false && tru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 false}`);

console.log(`true || 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tru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false || tru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 false}`);

console.log(`!false = ${!false}`);

7. 그 외의 정보


자바 스크립트도 0을 제외한 모든 숫자를 true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0은 모두 거짓으로 취급합니다.
console.log(`!1 = ${!1}`);
console.log(`!0 = ${!0}`);
console.log(`!!3 = ${!!3}`);

 




댓글